![]() |
출처 : 건설경제
![]() |
||
카타르 메트로 ‘레드라인’의 BIM 설계 (출처 : Hochtief ViCon) |
철도 인프라 건설공사에 BIM(건설정보모델링) 적용 의무화를 준비하는 국가 연구개발(R&D)이 추진된다.
‘계획-설계-시공’의 개발단계에 실증사업을 통해 BIM 기술을 고도화하고, ‘운영-유지보수’단계까지 적용범위를 넓혀 생애주기 전반으로 BIM을 확산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15일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 따르면 국토부는 ‘철도인프라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BIM기반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및 구축’에 관한 국가R&D 과제에 착수한다. 올해 10억원을 시작으로 2024년까지 5년간 총 187억원이 투입된다.
이 과제는 철도시설물 정보를 BIM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철도인프라 BIM 발주-설계-시공 기술을 고도화하고, 운영-유지보수 단계까지 이어지도록 표준화된 통합운영체계ㆍ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현장 실증도 진행한다.
궤도, 전기시설, 통신, 구조물 등 인터페이스가 복잡한 철도 인프라 건설공사는 BIM 적용이 어려운 분야다. 하지만 ‘휴먼 에러’ 발생 가능성이 높은 평면(2D) 설계기법으로는 갈수록 고속ㆍ첨단화되는 철도 인프라의 설계오류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철도 인프라에 3차원(3D) BIM을 전면 도입하기 위해 각 국 정부기관이 힘을 쏟는 이유다.
영국과 독일, 일본, 중국, 싱가포르, 카타르 등은 철도 인프라의 BIM 정착을 위해 시범사업과 관련 기술 개발에 열심이다.
독일의 경우 올해까지 총 10개의 시범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며, 2017년 BIM 의무화를 시행한 일본은 38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철도가 핵심 교통인프라인 중국도 철도 BIM 선도국가를 목표로 막대한 R&D투자에 나서고 있다.
BIM을 적용한 대표 사례로는 영국의 ‘크로스레일(Crossrail)’, 카타르 ‘레드 라인(Red Line)’ 프로젝트가 손꼽힌다. 기획부터 유지관리까지 정보의 상호운영성을 지원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시설물 기능은 최대화했다. ‘영국판 GTX’인 크로스레일 프로젝트는 BIM과 PLM(제품생애주기관리) 기술을 활용해 작업효율을 35% 개선하고, 사업비 280만파운드(약 50억원)를 절감했다.
이에 비해 국내에서는 철도 분야에 국가적 차원의 BIM 설계 기준이 없어서 여전히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성과품을 납품하고 있다. 도로ㆍ하천 분야에만 전자설계도서 작성ㆍ납품 지침을 만들어 성과품을 관리할 뿐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월곶~판교 등 신규사업에 BIM을 시범 도입했지만 디지털 모델 기술의 내재화나 절차의 정립 미비로 효과적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국가 R&D과제에서는 기존에 확보된 표준기술을 토대로 실제 철도사업 테스트베드를 기반으로 기술혁신과 성과물을 실증한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관계자는 “발주처의 BIM 운영체계 조기 정착을 통해 철도인프라 건설생산성을 20% 높이고, 공기ㆍ공사비도 5% 이상 절감될 것”이라며 “세계적 수준의 철도분야 BIM 설계 기술력 확보로 해외 철도 수주 경쟁력 향상도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