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54주년]‘연결ㆍ통합ㆍ융합’ 건설산업 장끼 살려 4차 산업혁명 파고 넘어야
인쇄
비아이엠 
2018-03-08 08:10:23
조회:66864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홈페이지

출처 : 건설경제

 

 

<p> &lt;4차 산업혁명과 인프라&hellip;기로에 선 건설산업&gt; ⑤위기와 기회 사이에 선 건설 (끝)</p>

 

“기존 일자리의 70%가 사라질 것이다.”

인공지능(AI)을 필두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일자리 충격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020년까지 일자리 700만개가 사라지는 반면 새 일자리는 200만개에 불과하다는 예측도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성,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이 키워드다.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무한경쟁의 시대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기로 보기보다는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다른 영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충고한다.

김형관 연세대 교수는 “건설회사를 지칭하는 ‘계약자(Contractor)’라는 말에 답이 있다”며 “건설업 자체가 연결과 통합, 융합의 속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산업은 사업주, 대주단, 정부, 시공사, 보험회사, 운영회사 등 다양한 사업 주체들의 융합체이고, 기획ㆍ금융ㆍ설계ㆍ시공ㆍ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까지 끊김없이 매끄럽게 이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전통적인 건설기술 외에도 3D프린팅, 로봇, 증강ㆍ가상현실(AVㆍVR),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폭넓게 활용한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공 포인트는 신기술보다 실생활과의 기술 접목이 중요하다. 바로 건설사들이 가장 잘하는 분야다.

◇도시 인프라의 ‘게임 체인저’ 스마트 가로등

가로등, 주차장, 도로 등 도시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의 공급자는 전통적으로 건설사들의 몫이었다. 하지만 판이 바뀌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스마트시티 열풍에서 건설사들이 낙오되면 단순히 몇몇 기업의 도태가 아니라 건설업태의 낙오로 이어질 수 있다. 분명 위기이지만, 기회 요인도 많다.

건설산업의 혁신은 국가 차원의 생산성 개선과도 직결된다. 국내 건설산업은 2016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57%, 고용의 7%를 담당한다.

최석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기술정책연구실장은 “콘크리트와 철골 구조물로 대표되는 기존의 양 중심 인프라 투자는 그 실질적인 효과에 상관없이 매력이 없을 수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프라 투자는 국민 생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사용ㆍ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질적 투자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 가로등은 도시 인프라의 판도를 뒤바꿀 ‘게임 체인저(Game Changerㆍ혁신 주도자)’이다. 스마트 가로등에는 전력 소비를 줄이는 LED 조광 외에도 날씨와 오염 정도, 지진 활동, 차량ㆍ사람의 이동, 소음 등 도시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는 기능들이 더해진다. 이런 빅데이터는 치안 유지와 환경 개선, 교통 상황 등을 파악해 다양한 서비스로 이어진다. 스마트 주차도 스마트 가로등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바닥 센서는 스마트 가로등과 무선으로 연결돼 도시의 모든 주차 정보를 운전자들에게 실시간 제공한다.

교통 체증과 치안 문제, 주차난 등 현대 도시들이 앓고 있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처방전이 스마트 가로등에 있다. 도시 문제 해결이라는 스마트시티의 목적과도 딱 들어 맞는다. 서울에만 1㎢당 가로등이 최대 850여개다. 이를 모두 스마트 가로등으로 전환하려면 천문학적인 돈이 든다. 하지만 바르셀로나 등 스마트시티를 꿈꾸는 세계적 도시들은 이미 하고 있는 일이다. 세계 스마트시티의 롤모델인 바르셀로나는 30년 전부터 도시 지하에 약 500㎞의 광케이블을 깔았다.

‘자전거 천국’으로 유명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은 세계 최초로 태양광 자전거도로를 만들어 전기를 생산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좁은 국토의 한계 탓에 대규모 태양광발전이 힘든 점을 고려해 태양광 패널을 자전거 도로에 깔아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약 70%가 도시에 집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빌딩ㆍ인프라를 포함한 스마트시티 시장은 2019년까지 1조2000억달러로 추산된다. 건설기업들이 잡아야 할 시장이다.

◇첨단화 더딘 韓건설, 스마트홈ㆍ시티 주도권 놓칠라

하지만 건설업 디지털화의 핵심인 BIM(빌딩정보 모델링)조차 확산 속도가 더딘 편이다. 전문가들은 선진 건설기업과의 격차가 최소 7∼8년 벌어져 있다고 분석한다.

실제 한국에서 대형 건설사들을 제외하면 BIM 활용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다. 2D와 3D 캐드(CAD)를 병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반면 영국, 미국, 싱가포르 등은 2010년을 전후로 공공발주 사업에 BIM의 적용을 의무화했다. 공공건축의 약 80%에 BIM을 적용 중이다.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셀우드 교량 재건축 사업에선 BIM을 통해 사업기간을 1년 단축하고 비용도 500만∼1000만달러가량 줄였다. 영국 리즈 아레나 스타디움 프로젝트는 BIM을 활용해 간섭 검토로만 5억원의 사업비를 아꼈다. 중국에서도 상하이 지하철 17라인에 BIM과 QR코드 기반 자재 추적을 통해 자재조달 기간은 25%, 시공 비용은 30% 절감했다. 지하개발 프로젝트 특성상 BIM을 통해 지하시설과 교량 배수 등의 간섭 검토에 유용하게 썼다.

과거에 익힌 지식과 기술은 유효기간이 있다. 미국 벡텔은 1990년대 말 그 유효기간을 10년으로 설정했다. 새 지식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재교육을 통해 이를 업데이트해주고 있다. 우리가 배워야 할 시스템이다.

우리 건설사들이 주춤하는 사이 스마트시티 시장은 첨단기업들의 격전지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구글, MS, 시스코, 인텔, 테슬라 등이 스마트시티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구글은 미국 교통부, 캐나다 등 각국 정부와 손잡고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인텔은 자율주행차용 칩을 기반으로 스마트시티에 필수적인 다양한 교통인프라 사업에 뛰어들었다.

주택사업에서도 건설사들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과거 홈네트워크 시장은 건설사가 주도했지만 스마트홈으로 진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가전업체에 주도권을 뺏기고 있다.

‘가정으로 들어온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스마트홈은 IoT 가전이 통신으로 연결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결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정부 부처 간 경쟁에서도 다소 밀리는 양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4월 스마트홈 융합 얼라이언스 발족식을 가졌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업체와 SK텔레콤, KT 등 통신사, 반도체ㆍ센서ㆍ소프트웨어 업체에 이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이 참여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LHㆍSH가 가전ㆍ통신업체들이 스마트홈 시장을 주도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맡은 셈”이라고 꼬집었다.

최 실장은 “4차 산업혁명은 기계와 사물, 인간의 연결을 통해 정체돼 있던 건설산업의 생산성을 폭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만 건설사들이 핵심역량을 제대로 쥐고 타 분야와 융합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